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획기사
마케팅 퀴즈
마케팅 밈
마케팅 뉴스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획기사
마케팅 퀴즈
마케팅 밈
마케팅 뉴스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기획
마케팅 뉴스
신문사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기획
기획기사
기획기사
다음
이전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이 조합 신선하네!" 이색 컬래버레이션 사례
'곰표'라는 글자가 가슴에 커다랗게 쾅! 박혀있는 디자인의 흰색 패딩을 기억하시나요? 2018년 밀가루 브랜드로 유명한 곰표와 의류 브랜드 4XR이 만나 패딩을 출시했었는데요. 처음 SNS에서 이 옷을 봤을 때 '재미는 있는데, 과연 팔릴까?'라는 궁금증이 생기셨을 거예요. 하지만 "신선하고 재밌다"라는 소비자의 반응을
이찬주 기자
2023.01.19 07:00
기획기사
[메타버스 공공서비스] ②방향 없이 달리면 한계 분명...명확한 사업 정립 필요
공공부분에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가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도입됐다. IT 강국의 위상을 떨쳤을 뿐 아니라 4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현상으로 주목된다. 이에 따른 의미와 우려되는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짚어본다. -편집자주-■ "남들이 하니까 우리도?" 방향 없이 달려가는 메타버스 사업의 한계 다분야에서 메타버스
이찬주 기자
2023.01.18 12:00
기획기사
[메타버스 공공서비스] ①기업·정부 메타버스 속속 도입 ...의미 고민 충분했나?
공공부분에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가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도입됐다. IT 강국의 위상을 떨쳤을 뿐 아니라 4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현상으로 주목된다. 이에 따른 의미와 우려되는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짚어본다. -편집자주-국내에 행정 서비스를 위한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이 세계 최초로 도입됐다. 지난 16일, 서
이찬주 기자
2023.01.17 12:00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티스토리에 구글 애드센스 못 달게 될까
카카오의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 이용 약관에 '광고의 형태, 위치 및 수익의 귀속도 카카오가 결정할 수 있다'는 항목이 포함되어 블로거들의 반발을 사고 있어요.티스토리에 구글 애드센스를 적용해 수익을 내던 블로거들은 네이버 블로그나 워드프레스 등으로 이탈할 움직임도 보이고 있죠. 구체적인 약관의 내용은 무엇이고 어떻게
이찬주 기자
2023.01.16 08:00
기획기사
딥페이크 규제 시작하는 중국, 기술 봉쇄만이 답일까
앞으로 중국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인물 사진이나 영상, 오디오를 합성한 콘텐츠 사용이 금지된다.중국은 딥페이크 기술에 의한 범죄 예방과 허위 정보 확산 방지를 위해 ‘인터넷 정보 서비스 딥 합성 관리 규정’을 지난 10일부터 시행했다. ‘인터넷 정보 서비스 딥 합성 관리 규정’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딥페이크
이찬주 기자
2023.01.12 10:43
기획기사
[마케터의 서재] 고객의 머릿속을 들여다볼 수는 없을까?...<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고객의 마음을 읽어라."라는 말, 마케팅을 하다 보면 참 많이 듣고 보게 되죠? 하지만 사람 마음이라는 게 눈에 보이지도 않고 크기도 가늠하기 어렵다 보니 막막하게만 느껴지는데요. 고객의 마음 속을 카메라로 찍어서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서 우리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도서 에 따르면
이찬주 기자
2023.01.12 08:00
기획기사
[마케팅 마스터] 매출 성과 관리와 이어지는 비즈니스별 '객단가' 용어 이해
3高(고물가·고금리·고환율) 파급효과로 실물경제의 성장 둔화가 지속됨에 따라 사업자들이 느끼는 매출 하락 체감도도 악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히면서 매출에 영향을 끼치는 '결제 수'와 '객단가'가 모두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매출 개선을 위한 사업자들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시기다. 매출은 결제 수와 객단가
이찬주 기자
2023.01.06 12:24
기획기사
카카오 먹통 보상, '허술한' 진정성 아쉬워
카카오가 최근 카카오톡 이용자 대상으로 무료 이모티콘 등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비스 장애에 대한 사과의 의미지만 정작 이용자들 사이에선 카카오의 대응에 불만 여론이 나오고 있다.지난 10월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던 카카오가 이에 대한 보상으로 최근 이모티콘 3종·카카오메이커스 쿠폰 2종·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
이찬주 기자
2023.01.06 10:50
기획기사
[마켓서베이] 경기 침체 속, 2023년 마케팅 전략은?
지난 11월,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 전망을 1.7%대로 낮춰 발표했었죠.고물가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기업의 매출 회복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데믹 전환으로 인한 소비 심리를 무시할 수 없기에 기업들은 마냥 마케팅 비용을 축소할 수만도 없는 상황이에요. 나스미디어는 ‘
이찬주 기자
2022.12.28 16:29
기획기사
피해 구제 어려운 검색 광고 사기, 기본적인 광고 개념 이해 필요
검색형 광고는 이커머스 기업 및 중소형 광고주의 쇼핑 검색 광고 확대로 전년 대비 24.1% 성장한 3조 6,165억 원을 기록했다.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만적 영업으로 인한 사업자들의 피해도 늘고 있는 추세다.한국인터넷광고재단 인터넷광고 신고센터에 따르면 2018년 이후 매년 3,000건 이상의 기만적 광고 대행 계약
이찬주 기자
2022.12.20 15:33
기획기사
네이버 검색 결과 조작 의혹 소송 패소, 검색 시장 후폭풍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경쟁사를 쫓아내고 검색 결과를 조작했다는 이유로 과징금을 부과받은 네이버가 불복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어요. 서울고법 행정6-1부(최봉희 위광하 홍성욱 부장판사)는 14일 네이버가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 및 과징금 납부 명령 취소' 소송을 원고 패소로 판결한 것이죠.지난 2020년
이찬주 기자
2022.12.19 04:08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숏폼으로 더욱 주목받는 VCC 마케팅
최근 VCC(Value Co-Creation)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어요. 직역하면 가치 공동 창출이라는 뜻인데요. 말 그대로 소비자가 브랜드와 함께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마케팅 전략을 의미하죠.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발견한 새로운 가치를 지인에게 알리거나 SNS를 통해 공유하게 되고요. 브랜드사는 고객
이찬주 기자
2022.12.15 14:14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메타, 맞춤형 광고 수익 위기 몰리나
메타의 주력 사업인 맞춤형 광고가 유럽에서 퇴출될 위기에 몰렸어요. 메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사용자의 활동내역과 관심사, 웹사이트 방문 이력 등을 추적해서 맞춤형 광고를 하고 있어요. 메타의 전체 매출 중 97%가 광고 매출이 차지하고 있을 만큼 비중이 큰데요. 갑자기 유럽에서 왜 맞춤형 광고를 하지 못하게 되는
이찬주 기자
2022.12.13 17:11
기획기사
오프라인과 디지털의 융합, 피지털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기존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하던 업종들이 대거 온라인으로 옮겨갔어요. 하지만 최근 일상 회복이 시작되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어요. 오프라인에서는 상품 구매보다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것인데요. 이때 오프라인(Physical) 매장을 중심으로 디지털(Digital) 기술을
이하나 기자
2022.11.14 09:19
기획기사
완판된 넷플릭스 광고, 얼마면 돼?
지난 4일 넷플릭스가 광고 요금제를 도입했어요. 넷플릭스 이용자가 한국에서만 1,000만 명에 육박하는 만큼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는 없을 텐데요! 해서 넷플릭스의 광고 요금제에 대해 이용자의 관점이 아닌 '광고주의 관점'에서 궁금한 내용들을 넷플릭스 광고 국내 판매 대행사인 나스미디어에 물어봤습니다. 한
신용성 기자
2022.11.10 08:28
기획기사
헷갈리는 '브랜드, 브랜딩, 브랜드 마케팅' 완전정복
안녕하세요, 애드옵스 플랫폼 아드리엘입니다.‘브랜드’, ‘브랜딩’, ‘브랜드 마케팅’… 세상에는 브랜드를 둘러싼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이 있습니다. 이 3가지 용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각각의 용어가 정확히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우리 모두 한 번쯤은
김주환 기자
2022.11.08 11:26
기획기사
이제 무지출을 인증해요, 과시적 비소비 ?
소비가 아닌 비소비를 과시하는 것을 뜻하는 '과시적 비소비'라는 용어는 라이프 트렌드 2023이라는 도서에서 언급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한 때 욜로(YOLO), 플렉스(FLEX), 오픈 런, 호캉스와 같이 과시적 소비를 향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한 번뿐인 인생에서 나를 위해 아낌없이 소비하는 문화, 돈 쓰는 것을
이찬주 기자
2022.11.07 09:29
1
내용
내용